글번호
209448
작성일
2025.07.29
수정일
2025.07.29
작성자
eng_sw
조회수
231

소프트웨어학부 특강 안내

[소프트웨어학부 특강 안내]

아래와 같이  IEEE의 저명한 강사 분을 모시고 특강을 진행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 IEEE : 전기전자공학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는 전기/전자/전산 분야의 국제 기구 및 학회
------------------------------------------------------------------------------------------------------------------------
(English ver.)
■ TitleAI-Assisted Network Services over Federated Open Networks in 5G and beyond

■ Time: 16:00pm , August 5, 2025

■ Venue : 423, Myeongshin Hall

■ Guest Speaker :  Baek-Young Choi, Ph.D. / IEEE Distinguished Lecturer
- Professor of Computer Science, CS  Faculty Lead
-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 Chair of Sister Societies Committee, IEEE Communications Society
- Distinguished Lecturer, IEEE Communications Society
- Associate Editor-in-Chief,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The architecture of the 5G network, and the anticipated 6G network, will predominantly be virtualized and rely on software functionalities. These virtualization trends extend from the core to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functionalities. The decoupling of software and hardware, open interfaces, containerization and virtualization, and the open source code principle provide ample opportunities for AI-assisted innovation over testbeds. In the talk, we examine an ongoing project where we develop a distributed federation platform that enables agile AI-assisted network service delivery over cross-sector open networks. We will explore the intricacies of open testbeds and their federation platform. Particularly, a network service use case over the federated networks will be discussed, showcasing how semantic network management is achieved using machine learning and generative AI techniques.

(한글 버전)
■ 제목  5G 및 그 이후의 Federated Open Networks를 통한 AI 지원 네트워크 서비스

■ 시간: 2025년 8월 5일 화요일, 오후 4시

■ 장소 : 명신관 423호 계단 강의실

■ 강사 : 최백영 Ph.D. / IEEE Distinguished Lecturer

- 컴퓨터 과학 교수, CS 교수진 리더

- 미주리 대학교 캔자스 시티 캠퍼스

- IEEE 커뮤니케이션 학회 자매 학회 위원장

- IEEE 커뮤니케이션 학회 저명 강사

- IEEE 커뮤니케이션 매거진 부편집장


5G 네트워크와 예상되는 6G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주로 가상화되고 소프트웨어 기능에 의존할 것입니다. 이러한 가상화 추세는 코어에서 무선 접속망(RAN) 기능까지 확장됩니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분리, 개방형 인터페이스, 컨테이너화 및 가상화, 그리고 오픈 소스 코드 원칙은 테스트베드를 통한 AI 지원 혁신에 풍부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본 특강에서는 여러 부문에 걸친 개방형 네트워크에서 민첩한 AI 지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분산형 페더레이션 플랫폼을 개발하는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개방형 테스트베드와 페더레이션 플랫폼의 복잡성을 살펴보고, 특히, 페더레이션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사례를 논의하고, 머신 러닝과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의미론적 네트워크 관리를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